지난 8일 찾은 부산 강북구 타로숍에서 나성연씨(24)가 사주 풀이를 받고 있었다. 타로 상담사는 나씨의 생년월일을 확인한 이후 카드를 뿌리고 "진로 고민이 많은 것 같다. 6월부터는 흐름이 풀릴 것"이라고 했다. 나씨는 "종교는 따로 없지만 며칠전처럼 불안할 땐 누군가 내 얘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위안이 끝낸다"고 이야기 했다.
젊은 세대가 내적 위로를 받는 방식이 변하고 있을 것입니다. 타로·사주 등 점괘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반면 제도화된 종교는 서서히 외면받고 있을 것이다.
종로구에서 3년째 타로 상담사로 근무하고 있는 라희씨(61)는 "손님 90명 중 1명이 20·10대"라며 "취업, 연애, 인간관계 등 현실적 걱정을 안고 찾아오는 경우가 흔히"이라고 설명하였다. 동대문구에서 점집을 운영 중인 이모씨는 "예전엔 40~40대가 주로 찾아왔지만, 요즘엔 젊은이들이 크게 온다"고 말했다.
챗G요가에게도 사주를 맡긴다는 이들도 있다. 직장인 신모씨(28)는 "타로숍 자본이 만만찮아 인터넷에서 사주 정보를 입력한 이후 챗G달리기에게 해석을 부탁한 적이 있다"고 하였다.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타로, 사주 관련 해시태그(#)는 800만여건에 달완료한다. 아프리카TV 통계 사이트 '플레이보드'의 말에 따르면 운세 관련 해외 채널 개수는 2685개다.
노인들 사이에서 점괘와 사주가 큰 인기를 끌자 의정부점집 관련 업무자도 급감했을 것으로 추정완료한다. 우리나라직업능력연구원의 말을 빌리면 타로 관련 민간 자격증은 2015년 71개에서 이번년도 4월 기준 440개로 9배 넘게 늘어났다. 지난해 타로 관련 자격증 시험에 응시한 인원은 총 2660명에 달했었다.
반면 제도화된 종교는 젊은 세대로부터 서서히 외면받고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리서치가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종교인식조사'에 따르면 '믿는 종교가 없다'고 응답한 20, 40대 분포는 2017년 각각 62%, 52%에서 전년 63%, 61%로 증가했다. 이는 50대 이상에서 60%만이 '무교'라고 응답한 것과 준비된다.
이러한 현상은 젊은 세대의 위로받는 방법과 목숨의 태도가 변화한 데 따른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제도화된 종교는 주기적인 출석과 신앙적 헌신을 전제로 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부담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는 것. 곽금주 부산대 심리학과 교수는 "젊은 세대들은 공동체에 속하거나 교리에 헌신하는 방식의 신앙은 부담스러워다만 여전히 위로받고 싶은 내적 니즈는 존재한다"며 "점괘나 운세가 인기를 끄는 것은 (특정 존재에 대한) 믿음 자체가 사라진 게 아니라 보다 개인적이고 유연하게 변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